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네이버페이이벤트
- 디씨코믹스
- 갤럭시S8
- 메이저리그
- 인공지능
- 다우지수
- 인휴먼즈
- 메이저리그시범경기
- 프로바이오틱스
- 마블 영화
- 나스닥종합
- 어벤져스
- SKT누구
- 네이버페이
- 코스피지수
- 아델
- 오늘의시사만평
- 만평
- ai
- 4차산업혁명
- 시사만평
- 마블
- 라라랜드
- 영양성분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다이어트식단
- 애로우
- 구글어시스턴트
- 체인스모커스
- 파파고
- Today
- Total
목록치매 (2)
코코데일리
암보다 두려운 질환 치매 종류와 예방법 나이 듦은 충실하게 인생 여정을 걸어왔다는 자랑스러운 결과지만 나이 들면서 찾아오기 쉬운 치매는 자신은 물론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고통을 주는 큰 복병이다. 치매는 다양한 증상을 보일 수 있지 만 크게 시간, 계절 등을 구분하지 못하거나 언어장애, 자동차 운전을 못하게 되거나, 가스레인지 사 용법을 잊어버리는 등의 형태로도 나타난다. 망상이나 환각, 우울증 및 성격변화 등의 정신행동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치매의 종류 치매는 뇌 부위에 있는 많은 신경세포들이 줄어들고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축적돼 나타나는 알츠하이머 치매와 뇌혈관들이 막히거나 좁아진 것이 원인에 되어 뇌세포의 손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혈관성 치매가 있다. 약물, 알코올, 우울증, 감염성 뇌질환, 갑상..
우리 몸을 유지하는 약 40조 개의 세포중에 세포 생존에 관여하는 단백질(EFhd2)의 구조와 작용 메커니즘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향후 항암제 개발, 알츠하이머병, 치매 등 다양한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제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연구팀은 EFhd2가 지나치게 발현되면 세포 이동속도가 증가하고 암세포 전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아냈다. 알츠하이머 환자의 경우 뇌세포에 있는 타우 변이체와 함께 응집돼 병의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조무제)은 광주과학기술원 엄수현 교수 연구팀이 신규 세포 골격 조절 단백질인 EFhd2의 고해상도 3차원 구조를 밝혀내고 그 작용 메커니즘을 최초로 규명했다고 15일 밝혔다. EFhd2 단백질의 3차원 구조와 작용 메커니즘을 규명한..